본문 바로가기

4.. 나의 살던 고향은44

별걸 다 기억하는 남자 1. 인터넷을 처음 고안한 사람들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 이라는 책을 읽고 있다. 2차 대전 당시 미국의 혁신적 군사기술을 이끌어낸 버니바 부시라는 물리학자에 대한 이야기 중에 그가 활쏘기, 담배 파이프 깎기, 사진 찍기, 잡다한 기계 만들기 등 취미가 다양했었고, 그것이 그이 창의성의 뿌리가 되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2. '별걸 다' 관심을 가지는 버시바 부시를 머리 속에 생각하다가 문득 라는 노래가 생각나서 찾아보니 1990년대 초에 노영심이 부른 노래였다. 3. 들어보니 가사가 너무 재미있어서 올려본다. 이 노래 말고도 변진섭의 이라는 재밌는 가사의 노래도 노영심 작품이다. 유투브에서 노래를 찾아 들어보면서 나처럼 옛날 추억에 잠겨 보시길... ----- 별걸 다 기억하는 남자] 노영심 나를 .. 2020. 12. 25.
[추억] 동네 이발소... 그 따스한 공간에 대한 기억 산골동네에서 유일했던 도회적 공간, 이발소. 그곳에 걸린 '이발소 그림'과 빨갛게 피어나던 석탄난로, 그리고 벽면을 가득 채운 커다란 유리거울, 양동이에서 가물거리는 수증기가 연출하던 그 따스한 공간이 그립다. 오랫만에 이발을 하였다. 몇 주 전부터 머리카락이 길어져 신경이 쓰였는데 주말에는 특히나 문 밖으로 단 한 발자욱도 나가기 싫어하는 내 게으른 성격에 차일피일 미루다 오늘에야 드디어 해치웠다. 내가 자주, 아니 사실은 유일하게 가는 이발소는 우리 집에서 한참을 걸어야 한다. 안양천을 건너고 경부선 철도가 위를 가로 지르는 자그마한 굴다리를 지나면 다소 허름한 느낌을 주는 '우리동네 이발소'라는 자그맣고 고풍스런 이발소가 있다. 겉보기에 쉰은 족히 넘었을 듯한 푸근한 인상의 내외분 단 둘이서 꾸려가.. 2016. 12. 8.
[추억] 추억의 옛날 교과서를 볼 수 있는 사이트 I. 1973년 국민학교 국어 교과서 (1학년 2학기) 제가 1972년도에 국민학교를 입학하였습니다. 다른 과목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데 재미있는 이야기 위주로 되었던 국어 교과서는 아직도 기억이 납니다. 1973년에 발행된 1학년 2학기 국어 교과서를 표지와 목차입니다. 기억나시나요? 2학기는 여름 방학이 끝나고 가을이 시작되는 계절이어서 추석 이야기부터 나오네요. 10가지 단원 중에서 제가 가장 좋아했던 것은 마지막 단원의 "개와 고양이" 이야기였습니다.은혜를 갚은 개와 고양이 이야기인데, 푸른 구슬 이야기이나 쥐의 왕을 족치는 부분도 매우 재미 있었고, 특히 다른 짧은 이야기에 비하여 나름 이야기의 구성이 훌륭했었죠. II. "토끼와 거북" 이야기 하지만 오늘 소개는 가장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토.. 2016. 12. 5.
[추억] 사라져 가는 우리의 짚문화를 바라보며(펌) 추수가 끝나고 나면 논바닥마다 높게 쌓아놓았던 짚가리는 겨울 한철 가축들의 먹이나 다음 해 농사준비를 위한 재료로 쓰이곤 했다. 이제는 거의 쓰지 않는 생활용품들을 만드는 가장 훌륭한 재료였던 짚, 오마이 뉴스에서 잘 설명한 자료가 있어서 퍼왔다. [사진] 사라져 가는 우리 짚 문화를 돌아보며06.04.09 19:48l최종 업데이트 06.04.10 10:01l김현(dasolsori) 내가 초등학교에 다닐 때까지만 해도 아버지와 동네 어른들은 새끼를 꼬아 멍석을 만들고, 가마니를 짜고, 삼태기나 짚신, 다래끼 같은 것을 만들어 사용했다. 특히 울타리를 엮어나 이엉을 엮을 땐 새끼가 많이 필요해 어린 우리들도 새끼를 꼬았던 기억이 난다. 어른들 솜씨는 못 따라가지만 그땐 제법 새끼를 잘 꼬았다는 소리도 들었.. 2016. 12. 4.
[추억] 물난리, 장마에 대한 기억들 어린 시절 나의 고향집은 비만오면 난리가 났다. 집 뒤에 30미터 쯤 되는 벼랑이 수직으로 서 있고 그 아래로 샘물이 흘렀는데, 여름에는 발을 담그고 10초를 견디지 못할 만큼 차가웠고, 겨울철에는 가마솥에 김이 서리듯 물안개가 피어오르는 따뜻한 곳이라서 온 동네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다. [출처 : http://blog.daum.net/rha188/15403254] 그런데 그 샘물줄기가 집터를 통과하다보니 비가 조금만 와도 마당 여기 저기에서 종기처럼 흙이 부풀어 오르고 잠시 후에 톡 터지면서 물줄기가 솟아올랐으며 삽시간에 마당은 개울로 변해버리곤 했다. 특히 구들장 밑의 고래 사이로 솟아오른 물은 아궁이를 통해 토하듯이 넘쳐나곤 했기에 그런 때에는 우리 집은 임시로 양은 솥을 물이 나지 않는 곳을 골라.. 2012. 8. 16.
[어린시절] 장마와 홍수의 기억 어린 시절 나의 고향집은 소백산 기슭에 있었는데, 집에서 2Km정도 떨어진 곳에 남한강이 흐르고 있었다. 그 강은 마을 이름을 따서 용진강이라고 불렸는데, 바로 영월의 동강과 서강이 합쳐져서 약 100리 정도를 흘러내려온 지점에서 나루를 형성하고 있는 곳이었다. 한때는 한강 하류에서 소금을 실은 배들이 이곳에서 소금가마니를 풀고 또 한편으로는 소백산의 아름드리 나무들을 벌목하여 뗏목으로 엮은 다음 한강의 물결따라 서울로 흘러보내던 곳이라고 한다. 그래서 나루 진(津)자를 써서 용진... 마을 앞으로는 소백산 깊은 골에서 흘러 내려온 맑은 개천이 흘러 용진강으로 합류하고 있었는데, 평상시는 징검다리로 건너는 얉은 개울이지만 여름 이맘 때 쯤에 조금만 비가 많이 내린다 싶으면 소백산에 내린 빗방물이 모여 .. 2011. 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