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인슈타인이 말한다.
"배운다는 것은 경험한다는 것이다. 나머지는 참고할 정보에 지나지 않는다."
■ 경험한다는 것은 바로 우리 몸의 감각기관을 통하여 무언가를 접촉한다는 말이다. 그러한 접촉없이는 아무런 배움도 성사되지 않는다.
책에서 배울 수는 없다. 강의에서 배울 수는 없다. 그것은 우리에게 영감을 줄 뿐이다. 이렇게 하면 될 것같은 가능성을 보여줄 뿐이다.
그것을 계기로, 듣고 본 내용을 내가 실제로 행동으로 옮겨볼 때 드디어 배움은 시작되는 것이다.
■ 책이나 강의에서 하는 말은 설계도나 밑그림에 지나지 않는다. 설계도는 집은 아니다. 집을 짓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것이 필요하며, 특히 나의 몸뚱아리가 필수적이다.
설계도만 손에 쥐었다고 모든 걸 배웠다고 생각하거나, 레시피만 다운 받았다고 요리가 밥상 위에 차려질 거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333601
올트먼도 19세때 창업…'억만장자 학부생' 쏟아낸 비결은 강의혁신
올트먼도 19세때 창업…'억만장자 학부생' 쏟아낸 비결은 강의혁신, DEEP INSIGHT 美 스탠퍼드·MIT·올린공대는 어떻게 '창업 메카' 됐나 MIT, 학생들에 '실제문제' 해결 1969년부터 年 6천개 프로젝트
www.hankyung.com
'✒️ 긴 생각 짧은 글 > 2. 비스듬히 세상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의 고삐" 제대로 잡기 (20) | 2024.10.22 |
---|---|
✒️백수의 정의 (0) | 2024.05.25 |
✒️ 진달래와 보리피리 (0) | 2024.05.25 |
✒️꽃을 보는 세 가지 방법 (0) | 2024.05.23 |
싸우지들 마세요 (0) | 2022.10.26 |
♣ 가장 훌륭한 대화법 "복사화법" / 김효석 (0) | 2018.08.17 |
♣ 낡은 지도 한 장의 기적 - "일단 행동해야" (0) | 2018.07.06 |
♣ 센스있고 무난한 회식 건배사 하는 방법 (2) | 2018.07.05 |
오늘의 한 줄 (0) | 2018.07.01 |
[한구절] 나무 (0) | 2018.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