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부정적인 사람으로 비칠까 봐 우려되기는 하지만 솔직히 왜 이 책을 여러 사람들이 극찬하는지를 잘 모르겠다.
1.
왜 이 책을 많은 사람들이 호평을 할까? 아마도 책 내용이 아니라 이 책이 상징하는 바가 큰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즉 책을 잘 썼다기 보다는 책의 전체적인 주제가 그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을만큼 훌륭하고, 비참한 경험을 한 저자가 이런 주제에 대하여 책을 썼다는 사실에 마음이 움직이고, 여러 사람들이 좋은 평가를 내리니 좋은 인상을 가지고 책을 읽게 되지 않았을까?
2.
이 책의 2, 3장에 나오는 로고테라피에 대한 내용은 그다지 공감이 가지 않는다.
3.
강제 수용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 우리는 왠지 모를 죄책감에 젖어 들게 된다. 인간에 대한 극한적인 탄압을 한 것은 나치이지만, 같은 인간으로서 유대인들에게 그처럼 모진 상처를 준 것에 대하여 나도 왠지 모를 미안한 감정이 든다는 것이다.
그런 감정에 빠지지 말고 조금만 냉정하게 돌아보자. 인간을 이처럼 탄압한 사례는 역사에 수없이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세 가지만 들어보자.
첫째는 현재 세계의 최강국으로 군림하는 미국에서는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의 악행에 버금가는 두 차례의 사건이 있었다. 우선 유럽인들이 아메리카에 정착하기 시작했을 때 원주민에 대한 탄압이다. 지금은 옛날 얘기가 되어 가끔 우리의 흥미거리로 전락했지만, 실제 그 땅을 정복하기 위한 유럽인들의 무자비함은 여러 역사책에서 다루고 있다.
두번째 탄압은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로 팔려가서 흑인노예들이 그 주인공이다. 그들은 아예 인간으로 취급받지 못하였고, 물건으로 취급되어 거래되었다. 생사여탈권은 주인에게 있었다. 2차 대전시의 유대인들과 비교하여 누가 더 가혹했을지에 대해 확언할 수 없다.
아이러니한 것은 우리는 흑인노예들의 참상에 대하여 충분한 이해를 하면서도 실제로 그들의 참상보다는 그들을 해방한 링컨의 결단에 더 환호한다는 점이다.
세번째는 아우슈비츠의 비극과 비슷한 시기에 벌어진 일본의 조선인들에 대한 탄압이다. 아직도 위안부 문제와 군함도의 비극은 끝나지 않은 역사이다. 그 피해자들이
'📚 읽다가 말다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구매]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마광수 (32) | 2024.10.18 |
---|---|
내 마음 속의 그늘 (0) | 2022.10.29 |
여정의 독서 : 대니얼 C. 데닛, <박테리아에서 바흐까지> #1 (0) | 2022.10.23 |
여정의 독서 : 파트리크 쥐스킨트, <좀머씨 이야기> (2) | 2022.10.22 |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0) | 2021.08.16 |
서평] 여행이 은유하는 순간들 / 김윤성 (1) | 2021.03.02 |
서평] 나를 뺀 세상의 전부 / 김소연 에세이 (0) | 2021.03.02 |
나도 모르게 생각한 생각들 / 요시타케 신스케 (0) | 2021.01.10 |
서평] <숨결이 바람될 때> 폴 칼라니티 저, 흐름출판 (0) | 2020.05.29 |
서평] '만인 대 만인의 투쟁' <수축사회> / 홍성국 저 (0) | 2019.05.24 |